반응형

이 강의에서 가장 기본적인 도구들을 설치하고 커스터마이징 하고 예쁘게 만드는 법을 보여주는 강의였다고 한다.

 

python

 

node.js

 

nvm

 

git

 

github CLI 

 

 

 

피날레로 인생을 멋지게 해줄 패키지를 설치해볼거라고 한다.

 

이패키지는 모든 개발자들이 사랑하는 패키지이고 향상된 프로그래밍 경험을 제공해준다고 한다. 

그냥 장난친거라고한다. ㅋ 끝~

반응형

'노마드코더 > 개발자를 위한 윈도우 셋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3.5 nvm (10:05)  (0) 2021.01.09
#3.4 Git and Github CLI (06:02)  (0) 2021.01.08
#3.3 Prettier and More Commands  (0) 2021.01.05
#3.2 Installing Python (06:38)  (0) 2021.01.04
#3.1 Installing NodeJS  (0) 2021.01.04
반응형

마지막으로

서로 다른 node.js버전을 관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지금 우리가 콘솔에 가지고 있는 노드 버전은 12.20이다.

때때로 다른 버전의 node를 쓰고 싶을 때가 있는데 

이럴때 가장 좋은 방법은 nvm을 사용하는 것이다.

 

nvm은 다수의 noe.js 버전을 관리하는 bash스크립트라고 한다. 

 

설치방법은 간단하다 curl 명령어로 아래의 사진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된다.

터미널을 다시 껐다켜고 nvm을 쳐보면 찾을수 없다는 오류가 나올 것이다. 

찾을수 없는 이유로는 우리 콘솔이 nvm 명령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것이다.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인데 왜냐면 우리가 사용하는 zsh는 nvm을 설치했는지를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설치소스코드가 있는 깃허브 홈페이지에 가면 해결하는 코드가 적혀있다.

이코드를 ~/.zshrc 파일에 추가해준다. 

vsc를 열어

코드 추가후 저장후 터미널을 다시 껐다가 켜 nvm을 작성해보자

 

정상적으로 잘 실행이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 

 

언제든지, 어떤 명령어를 추가하고 싶을때는, 그냥 여기 zshrc에서 추가하면 된다. 

이 방식은 맥,리눅스에서도 같다. 

이 하나의 파일에서 기본적으로, 콘솔에서 쓰이는 모든 명령어를 정의할 수 있다. 

 

이제 우리가 해야할건 nvm을 써보는 것.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많은 node.js 버전들이 출력되는걸 확인할수 있는데 이때 

입력하면 사용할수 있는 node.js 버전 목록들이 전부 출력이 된다. 

목록을보고 어떤 버전을 선택할지 결정을 하고 그에 맞는 버전설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설치가 된후 버전확인하면 바뀐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전에는, 공식 문서를 보면서 node.js를 설치했었는데 

이번에는 node.js를 이용해서 nvm을 설치할 것이다.

만약 예전에 썼던 버전을 사용하려면 그 버전은 아까 맨처음 사진에서 버전확인한 버전인데

설치가 안되어있다고 나오는걸 봐서 nvm은 이전에 썼던 node.js 버전을 인식하지 못한다. 

 

이번 강의편에서는 node.js를 설치할 때 공식 웹사이트에 나와있는 지시대로 하는법을 보여주는 강의였고

니콜라스는 nvm을 쓰는게 관리하기 더 쉽다고 생각한다고 한다.

전부 콘솔에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nvm을 써서 필요한 버전을 다운받는다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 nvm ls-remote --lt 를 입력한다 LTS 버전만 보이도록 

LTS=LONG-TERM-SERVICE

아까 위에서 버전확인을 할때 LTS라고 적혀있는 버전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LONG-TERM-SERVICE로 장기지원을 하는 버전이라고 한다. 그리고 할 수만 있다면 LTS버전을 이용하는게 좋다고 한다. LTS 는 적어도 4년 동안은 지원해주기 때문이다. 

 

그렇게 나온 목록들중 가장 최신의 LTS를 설치한다. 

버전 스위칭

 

반응형
반응형

이번 강의에서는 깃 환경설정을 해보고 깃허브 CLI를 설치할 거라고 한다.

 

깃허브 CLI는 github.com에 가지 않고도 깃허브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래서, 콘솔 상에서 repository도 만드는 등 작업을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미 git이 설치되어있다.

없다면 "sudo apt-get install git"으로 설치하면 된다.

 

 

github.cli 설치

github.com/cli/cli

 

cli/cli

GitHub’s official command line tool. Contribute to cli/cli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cli.github.com/

 

GitHub CLI

Take GitHub to the command line

cli.github.com

이번 설치과정은 앞으로도 또 보게 될 전형적인 설치방법일 수도 있다. 

차례대로 리눅스 터미널에서 붙여너힉
설치가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깃 환경설정

 

반응형

'노마드코더 > 개발자를 위한 윈도우 셋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 Conclusions (02:09) 마지막  (0) 2021.01.10
#3.5 nvm (10:05)  (0) 2021.01.09
#3.3 Prettier and More Commands  (0) 2021.01.05
#3.2 Installing Python (06:38)  (0) 2021.01.04
#3.1 Installing NodeJS  (0) 2021.01.04
반응형

VSCode에서 반드시 깔아야 할 것은 "prettier"

새로만든 JavaScript 파일에 코드를 작성하고 저장을 할건데 저장을 할때

그때 Prettier의 기능으로 자동적으로 형식이 맞춰지게끔 하고 싶다.

그런데 지금은 작동을 안한다. 

 

extension에 와서 prettier를 검색해보자.

검색한 화면에서 보면 알겠지만 WSL: UBUNTU에 설치하기 버튼이 활성화 되어있는걸 확인할 수 있는데 

Prettier는 이미 윈도우에는 설치가 되어있고 이걸 우분투에 설치해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 우리는 WSL, 즉 우분투에서 코딩하고 있는 거거든

그러니까 WSL에 설치하기를 클릭하자

그리고 설치가 잘되었는지 확인하기위해 VSCode를 다시 시작해보자.

다시 시작하고 설정에서 Editor: Format On Save를 체크해서 활성화 하자.

 

우리는 이전에 윈도우에서 설정했던 거고 그걸 이제 WSL에서도 해줘야 한다고 한다. 

 

이렇게 하고 했는데도 prettier가 작동안되서 이강의를 듣는 사람들의 댓글을 보고 해답을 찾았는데

추가적으로 아래 사진처럼 설정을 해주면 prettier가 설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태에서 저장하면 prettier가 작동해서 
이렇게 변경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 

리눅스에서 Git이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보자

잘 작동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것이 몇 가지 있다. 

예를들어 MongoDB가 있다. MongoDB는 윈도우 상에 설치해야 한다.

다른 명령어를 추가적으로 배워보자.

 

"mkdir" :

make directory

이 폴더를 VSCode에서 열어보자.

터미널을 열어 new_project에 잘들어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npm init으로 시작해보자

그리고 npm i express --save 를 실행해보자 무슨 명령어인지는 모르겠다 찾아봐야한다. 

 

두번째로 알아볼 명령어는 touch

touch는 봤던 것처럼 파일을 생성한다.

 

 

또다른거로는 mv가 있다. 

mv는 파일을 이동시키는 명령어이다.

 

위에서의 index.js파일을 변경하고 싶다면 mv명령어를 써서 바꿀수도 있다.

폴더에서도 똑같이 적용이 가능하다.

변경되는걸 확인할 수있다. 

지우고 싶다면 rm 명령어를 쓰면된다.

폴더를 지울때는 -rf 를 덧붙여서 사용해야한다. (remove a folder)

 

위에 나온 명령어들은 유용하다 

우린 파일만들고, 이름 수정하고, 파일을 이동하거나 지우는 것에 대부분의 시간을 쓰기 때문이다. 

 

정리하자면

 

prettier를 WSL쪽에 설치

설치 후 WSL쪽에 Format on Save (저장 시 자동 정렬 기능)을 활성

node.js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았다.

package-lock.json.

 

 

 

반응형

'노마드코더 > 개발자를 위한 윈도우 셋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3.5 nvm (10:05)  (0) 2021.01.09
#3.4 Git and Github CLI (06:02)  (0) 2021.01.08
#3.2 Installing Python (06:38)  (0) 2021.01.04
#3.1 Installing NodeJS  (0) 2021.01.04
#3.0 Folders  (0) 2021.01.04
반응형

#3. 2 Installing Python (06:38)

 

 

 

파이썬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deadsnake를 이용하는 건데 

deadsnake는 일종의 팀명 혹은 프로젝트 이름이다. 

기본적으로 우분투를 위한 파이썬을 제공해준다. 

 

설치하는 방법이 꽤나 흥미롭다 

우리가 그 과정에서 많은 걸 배울 수 있다.

 

 

설치에 대하여 읽어보기 클릭

 

먼저 해야할 것은 apt-get에 새로운 PPA를 추가해야 한다. 

apt는 우리가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apt는 패키지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걸 찾는다. 

그리고 때때로 그 데이터베이스에는 우리가 원하는 패키지가 없을 때도 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누군가의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그게 바로 이시점에서 해야 할 일이라고 한다. 

 

우리는 deadsnakes의 개인 패키지 저장소 (personal package archive, 즉 PPA)를 추가할 것이다. 

sudo add-apt-repository ppa:deadsnakes/ppa

 

enter를 누르자

지금 하고 있는 것은, apt에게 deadsnakes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도 패키지를 얻기를 원한다고 알려주고 있는 것.

설치가 다되면 업데이트해준다 apt패키지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해야 하기 때문

업데이트 작업을 통해서 apt는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새로운 패키지가 있다고 깨닫게 되는 과정이다.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deadsnakes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필요한걸 설치한다. 

deadsnakes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버전을 체크하고 쉘에서 

sudo apt-get install python3.9 을 입력해보자.

Y를 입력하자
아까 업데이트하면서 생긴 저장소에서 파이썬을 찾고 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대부분의 경우에 새로운 ppa 또는 새로운 소스를 우리가 가지고 있는 apt 데이터베이스에 추가시켜야 할 것

코드를 복사붙여넣기로 설치를 끝낼 수 있지만 내부적으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가 필요하다고 함.

무슨 일이 일어나는 거냐면, apt가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패키지들을 찾아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설치가 잘되었는지 확인해보면 3.9 , 3, 2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바꾸기를 권장하는데 

python을 입력했을 때 바로 python3.9로 갈 수 있도록 바꾸기를 권장한다고 한다. 

예전 버전으로 작업할 필요가 없으니까.

조언하고 싶은 바로는, 콘솔을 직접 수정하는 것이다. 

콘솔을 수정하기 위해  code ~/.zshrc 를 해보자.  

 

수정후 쉘 다시시작

 

3.9가 바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apt가 검색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하는 방법을 배웠다. 

즉 apt가 패키지들을 검색할 수 있는 새로운 저장소들을 추가할 수 있었다. 

또, 우리는 콘솔에서 alias를 사용하는 방법도 배웠다. 

.zshr

 

 

 

 

 

반응형

'노마드코더 > 개발자를 위한 윈도우 셋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 Git and Github CLI (06:02)  (0) 2021.01.08
#3.3 Prettier and More Commands  (0) 2021.01.05
#3.1 Installing NodeJS  (0) 2021.01.04
#3.0 Folders  (0) 2021.01.04
#2 TERMINAL CUSTOMIZATION  (0) 2021.01.03
반응형

리눅스와 우분투에 대해 좋은 것들 중에 하나는 파이썬3이 설치되어서 온다는 점이다.

 

이강의에서는 다른 것을 설치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 한다. 

 

그리고 우분투에서 무언갈 설치하는것은 되게 쉽다 

대부분 웹사이트에서 그냥 필요한 명령어들을 제공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우분투에서는 콘솔을 통해서 모든 것을 설치한다.

 

apt-get 이라는 것을 사용한다. 

 

apt-get은 기본적으로 패키지들의 인스톨러이다. 

우리의 시스템에 뭔가를 설치할 때 쓴다

 

sudo는 root(admin) 권한을 의미한다. 

쓰는 이유는 쉘이 admin유저가 아닌 상태에서 실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쉘을 실행하고 있는 것은

우분투를 설치했을 때 만들었던 유닉스 계정의 imlsw96이다.

 

리눅스 콘솔에는 항상 두 가지 유저가 있는데 

하나는 root 유저로, 뭐든지 할 수 있다. 

어떤 파일이든지 지울 수 있고 모든 것을 깨부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지금 사용하고 있는 imlsw96이다. 

명령어에서 whoami를 입력하면 유저네임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지금 사용하는 계정은 imlsw96이고 root 관리자가 아닌것을 확인할 수 있다. 

imlsw96은 많은것을 할 수있지만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만약 어드민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그 때를 위해 sudo라는 명령어가 있는거고 sudo를 사용하면 admin으로 만들어준다. 

패스워드를 물어볼 수있다.

 

예시로 openssl을 설치하자 

sudo apt-get install openssl

이는 시작할 때 사용했던 chocolately 쓸 때랑 비슷해보인다. 

openssl은 그냥 별의미없이 설치했다고 한다.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기 위해 

 

또 가끔은 sudo apt-get upgrade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업그레이드할 항목들이 있다면 항목들이 나오고 설치할것인지 물을것이다. 

이번에는 다른것을 설치할것을 보여준다

이번거는 apt-get을 바로 쓸 수 없을거라고 한다. 

 

예를들어 sudo apt-get install nodejs 

nodejs라고 하는 것이 존재하지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럴때 가장 좋은 방법은, 구글에다가 '우분투에 nodejs 설치하는 법' 검색하는 것

코드를 복사해서 쉘에서 실행하면

apt-get update를 실행하고 있다.

apt-get update는 기본적으로 apt-get 이 찾아볼 수 잇는 프로그램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하는 명령어다.

아까위에서의 apt-get은 node.js를 설치하지 못했다. 

근데 지금은 apt-get에게 알려주고 있다. . node.js라는 패키지가 존재한다고 

그러니까 지금 하는 작업이 apt-get이 검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업데이트 중인거라고 보면 된다.

이 명령어는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위의 사진 박스부분을 보면 yarn 패키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1. 퍼블릭 키를 가져와야하고 

2. sudo apt-get install yarn 

 

이제 nodejs를 설치해보자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

설치가 가능했던 이유는 아까도 말했듯이 apt-=get이 어디에 node.js가 존재하는지 알아차리도록 만들어 준 것. 

그전에는 apt-get은 node.js에 대해 아는바가 없다. 

 

 

반응형
반응형

#3. 0 Folders

 

이번 섹션에서는 , 우리는 WSL과 리눅스 콘솔에 익숙해지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 

 

리눅스와 윈도가 같은 컴퓨터 안에 존재할 때 그들 사이에서 지켜야 할 수칙

 

먼저 몇가지 명령어 

 

LS :

디렉토리의 목록을 보여준다 

또, 현재 디렉터리에서 빠져나올 때는 cd, 

즉 change directory를 사용한다.

 

cd.. 는 상위 폴더로 가게 된다. 

 

 

 

 위의 사진의 폴더별 역할이 궁금하다면 구글링을 해보자. 

이들 모두 리눅스를 위한 서로 다른 목적을 갖고 있는 폴더라고 한다. 

( 추가예정)

 

그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폴더는 'mnt' 폴더이다 mount를 의미한다.

mnt로 들어가서 ls 해보면

 

컴퓨터의 윈도 부분으로 갈 수 있는 문 같은 거다. 

 

root디렉터리는 리눅스 콘솔에서 접근하면 아까 위에서 봤듯이 접근이 가능하고 

원한다면 파일을 만든다든지 작업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명심해야 할 부분은 여기는 리눅스의 세계이다. 

만약 mnt로 간다면 이건 일종의 출입구로 윈도 세계로 들어갈수 있게 된다. 

 

윈도우 파일을 건드릴 수 있다. 

리눅스에서는 원한다면 무슨 파일이든지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파일을 만들 수도 있는데 이때 touch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우리에게 선택권이 있는데

WSL로 작업할 때 어떤 이들은 윈도 세계에 접근하지 않는다. 

즉 파일을 윈도에 생성하지 않는 거지 

그들은 보통 리눅스의 HOME디렉터리로 가서 거기에 모든 프로젝트랑 코드를 두 거야.

그러니까 우리는 선택할 수 있다. 작업한 코드를 윈도에 둘 것인지 리눅스에 둘 것인지. 

 

강의에서 권장하고 싶은 건 파일들을 윈도 쪽에 저장해두는 것이다. 

이유로는 내일 당장 WSL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파일들을 잃을 위험이 없다. 

 

리눅스 콘솔에서, 윈도에 있는 파일을 건드릴 수 있다!

하지만 윈도에서 리눅스 파일을 건드린다면 뭔가가 망가지기 시작한다고 한다. 

즉, 윈도에서는 리눅스 파일을 안 건드리는 게 좋을 것이라고 한다.

 

+ CD 명령어 중 TAB키를 누르면 폴더를 이동할 선택 옵션들이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d 누르고 원하는 디렉터리 이름의 초반 부분을 적고 tab을 눌러도 자동완성이 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nomadcoders.co/windows-setup-for-developers/lectures/1833

 

All Courses – 노마드 코더 Nomad Coders

초급부터 고급까지! 니꼬쌤과 함께 풀스택으로 성장하세요!

nomadcoders.co

 

#2 TERMINAL CUSTOMIZATION

#2. 0 Installation

터미널 커스터마이징 

1. 터미널에서 설정을 눌러 VSCODE를  실행하면 JSON 파일이 나오는데 여기서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2. JSON 파일 안에서 UBUNTU의 이름을 WSL로 바꾸면 실행 시 WSL로 바뀌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기본 실행이 윈도우 파워셀인데 이를 우분투로 바꾸기 위해 UUBUTU의 guid를 복사해 위의 default id 란에 바꿔준다.  그러면 터미널을 실행할 때 우분투가 먼저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터미널 설치를 할 것이다

oh my zsh  터미널을 훨씬 멋지게 만들어 줄 것이라고 한다.

터미널에 zsh를 설치하고 붙여넣기 해주자.

 

zsh를 설치하기위해서는 맥과 윈도의 설치방법은 다른데 우리가 다운로드할 ubuntu 또한 다르다. 

윈도 콘솔에다 설치하는 거는 콘솔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명령어 입력 시 오류가 나오는데 이는 관리자 계정으로 들어가지 않아서 그런 것이다. 

 

리눅스에는 크게 두 가지 유저 타입이 있는데

하나는 일반 유저이고 다른 하나는 super adimin이다

root라고 부르는데 

root 유저는 , 파일 시스템을 바꾸거나 

기타 등등 좀 안전하지 않은 작업을 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기본값으로 , 우리는 root를 쓰지 않고 

아까 만들었던 일반 유저를 쓰고 있는데 

root를 쓰고 싶다면  바로 이럴 때 , root 권한을 써야 할 때 

왜냐하면 여기 볼 수 있듯이 permission denied라고 나온다. 

아무튼 root를 쓰려면 sudo를 써줘야 하고 그다음에 커맨드를 쓴다.

 

Y를 입력하자.

설치가 완료되면 아까 보았던 코드를 입력해주자

이또 한 Y를 눌러주자.

설치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는 설치 후 다시 실행해도 기존의 테마?라고 해야 할까 바뀌지 않고 설치 전과 동일해서 찾아봤는데 기본으로 설정해주는 코드를 작성하면 다시 껐다 켜도 테마가 저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de 명령어가 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1 Powerlevel10 K (12:26)

 

settings.json 에서 scheme 부분의 링크를 클릭

docs.microsoft.com/ko-kr/windows/terminal/customize-settings/color-schemes

 

Windows 터미널 색 구성표

Windows 터미널용 색 구성표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docs.microsoft.com

 

기본적으로, 윈도 터미널에서 색깔을 바꾸는 것에 대해 알려주는 페이지.

위 링크에 접속하면 색깔과 각종 테마? 들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원하는 테마를 설치해보겠다.

이 테마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위의 테마 이름을 복사해서 setting.json의 코드를 수정해주어야 한다. 

적용해주면 터미널이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직 이상태는 구려서 terminal splash를 사용할 거라고 한다.

이 웹페이지에서는 윈도 터미널을 위한 멋진 테마들을 찾아볼 수 있다.

terminalsplash.com/

 

>_TerminalSplash - Windows Terminal Themes

A collection of Windows Terminal Themes

terminalsplash.com

원하는 테마의 코드 버튼을 클릭하여 코드를 복사 후 위에 올렸던 사진 중 setting.json의 schemes 부분에 붙여 넣기 해보자

 

그리고 name 부분의 Monokai Night를 위의 colorScheme 부분에 붙여 넣어주자.

만약에 모든 창에 대해 color scheme을 고정시킬 원한다면 

defaults 부분에 colorScheme부분을 붙여넣기하면 된다. 

 

이후 터미널 창을 살펴보면 아직 완벽한 상태가 아니라고 한다. 

터미널의 색깔 그리고 모든 다른 도구들의 환경설정 옵션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인 거 같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가 할 것은 'Powerlevel10 k'라는 것을 설치 이는 설치한 터미널인 zsh를 위한 테마라고 한다.

'Powerlevel10k' 라는 것을 설치 이는 설치한 터미널인 zsh를 위한 테마

복사후 설치

sudo를 작성하고 복사해야 함 실행이 끝나면 설정하기 위해서

. zshrc 이 파일을 수정해주어야 한다. 

 

code ~ (루트를 의미하는 캐릭터) /. zshrc를 입력해서 VS code에서 열어보자.

이렇게 열리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에 있는 환경설정 옵션들은 터미널을 위한 것이다. 

windows terminal을 위한 것이 아니라 oh my zsh를 위한 것이라고 한다. 

 

혹시 저장이 안 될 경우 터미널 창에서 vi ~/. zshrc로 수정후 :wq!로 강제 종료하니까 먹히긴 한다. 내가 그렇게 했다 vscode내에서 저장하려고 하니까 계속 권한이 거부당했다고 오류가 나와서  

 

아무튼 위와 같은 사진에서 

 

이 부분이 다이아몬드처럼 보여야 하는데 다이아몬드 같지 않다. 

이 부분이 다이아몬드처럼 보이려면 폰트를 다운로드하고 setting.json에 수정을 해줘야 한다. 

필요한 폰트는 노매드 코더 강의 홈페이지에 가면 다운로드를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VS Code의 터미널 폰트도 설정해준다. 

다이아몬드가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아몬드 처럼 보인다고 yes를 누르자.

 

자물쇠처럼 보입니까~? yes
데비안 로고처럼보이비니까 ? 나선형? 그런거 같다 yes
아이콘사이에 x가 잘껴있습니까~? yes
선호하는 프롬프트 스타일은 ? 3번이 다양하니 예뻐보이는구만 3번
유니코드로 
현재시간 보여줄까 ? 2번

 

뭐가더 좋은지 모르겠지만 니콜라스픽인 1번으로 감
1번 
1
한줄 두줄? 나는 김밥 한줄
빡빡하게 ? 여유롭게 ? 빡빡한 인생
아이콘 많게 ? 적게 ? ㅈㄹ많게~
간결하게 자세하게 ? 
nope

설정을 마치면

여기서 함정카드 발동했는데 동영상 강의랑 문구가 달라졌는데 1번을 눌러야 할 것 같다. 

강의에서는 Instant Propmt Mode를 시도해본 적이 없거나, 경고를 본 적이 없거나 이 모든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를 경우 3번을 선택하시오 Verbose 이렇게 적혀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고로 1번 선택

y

멋진 쉘의 모습이 적용된 걸 확인할 수 있다. 

 

VS code에도 적용이 되었나 확인해보자

확인하면 여전히 powershell로 적용된걸 확인할 수 있는데 

바뀐거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하나 더 바꾸어줘야 하는데 바로 ls colors이다. 

ls colors는 아래 글씨 색 이런 거 

색을 바꾸기 위해서는 터미널의 설정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 

. zshrc 파일을 열어보자.

맨 아랫줄에 

LS_COLORS="ow=01;36;40" && export LS_COLORS 

를 추가해주자.

 

만약에 터미널의 테마를 변경하고 싶다면 terminalsplassh.com으로 가면 된다. 

+ 추가적으로 다시 powerlevel10 k 환경 설정을 하고 싶다면

p10k config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된다. 

 

이제 우리는 이걸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배워야 한다. 우분투, 리눅스에 대해 배워야 하는 게 있고, 프로그램은 어떻게 설치하는지콘솔은 어떻게 작동하는지, 리눅스로부터 윈도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지반대로 윈도에서 리눅스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지 다음 파트에서 배운다고 한다. 

 

 

 

 

 

 

반응형
반응형

nomadcoders.co/windows-setup-for-developers/lectures/1826

 

All Courses – 노마드 코더 Nomad Coders

초급부터 고급까지! 니꼬쌤과 함께 풀스택으로 성장하세요!

nomadcoders.co

 

 

 

윈도우 업데이트 2004 인지 확인하기

 

프로그래머라면 가지고 있어야할 소프트웨어

1. 크롬

2. vsc

 

Custormizing VSCODE

 

Windows Subsystem for Linux 설치하기

1. chocolatey 설치

윈도우에서 설치할땐 이걸 설치해야함

chocolatey.org에 가서 다운로드 링크 복사해서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서 다운로드 링크를 복사해서 설치하기 .

설치가 되었으면 pwershell을 껐다 키고 choco 를 입력해서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하기. 

이후 패키지를 다운받기 위해 chocolatey 홈페이지가서 패키지 찾아 위와 했던 방법으로 소스 복사해서 파워셀에 붙여넣기로 실행하기

파워쉘을 대체하기 위해 windows terminal 을 설치 

 

그리고 wsl (Windows Subsystem for Linux)

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win10

 

Windows 10에 WSL(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설치

Bash 터미널을 사용하여 Linux 배포(Ubuntu, Debian, SUSE, Kali, Fedora, Pengwin 및 Alpine 포함)를 Windows 10 머신에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docs.microsoft.com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복사해서 설치

 

설치가 끝나면 microsoft store에서 ubuntu 18.04 LTS 를 설치하자.

 

설치후 재부팅후 ubuntu를 실행하면 UNIX 계정을 만들라고 나온다.

 

안내에 따라 계정을만든다. 

 

계정을 만들도 wsl2를 기본설정해줘야함

wsl --set-default-version 2

 

관리자 실행 터널열어서 실행하고 오류가나면 커널업데이트 해야함

 

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win10#step-4---download-the-linux-kernel-update-package

 

Windows 10에 WSL(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설치

Bash 터미널을 사용하여 Linux 배포(Ubuntu, Debian, SUSE, Kali, Fedora, Pengwin 및 Alpine 포함)를 Windows 10 머신에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docs.microsoft.com

여기서 커널업데이트 프로그램 설치

 

다시 wsl --set-default-version2 넣어서 확인

그리고 wsl 에다가 ubuntu에 wsl2를 사용할거라고 알려줘야한다.

 

이부분으 미쳐 캡쳐를 못했는데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 가보면 잘나와있으니 별어려움 없이 따라할수 있다.

반응형

'노마드코더 > 개발자를 위한 윈도우 셋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 Prettier and More Commands  (0) 2021.01.05
#3.2 Installing Python (06:38)  (0) 2021.01.04
#3.1 Installing NodeJS  (0) 2021.01.04
#3.0 Folders  (0) 2021.01.04
#2 TERMINAL CUSTOMIZATION  (0) 2021.01.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