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liJ를 이용해서 Java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빌드 관리 툴을 선택해야 한다.
Maven과 Gradle이 있는데 이중에 Gradle을 선호한다고 한다.
이유로는 Maven보다 뒤늦게 Gradle이 나와서 기존의 Maven의 단점들을 보완하기도 했고
Gradle이 사용 가능한 환경에서 Maven을 사용할 이유가 없다고 한다.
현실적으로는 회사에서 사용하는 빌드 관리 툴을 이용하자..
빌드 중..
빌드 완료 후 프로젝트 구조
build.gradle에서 빌드에 필요한 옵션들을 설정해준다..
우측에 Gradle 탭에서도 보다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본으로 지정된 의존성들을 지워주고 이쪽 프로젝트에 필요한 의존성을 주입해준다.
첫 번째로 스프링 부트를 이용하기위한 스프링부트 플러그인을 추가해준다.
+ 스프링 dependency 관련한 플러그인도 추가해준다.
두 번째로는 dependencies 부분에 사용될 라이브러리들을 추가해준다.
REST API를 이용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와
jpa 관련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그리고 to-do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이용하려고 인메모리 형식인 h2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다.
이제 리로드 버튼을 누르면 의존성들이 추가된 걸 확인할 수 있다.
+ 추가적으로 lombok 라이브러리도 사용한다.
추가로 dependencies에 작성하고 리로드 해주자.
lombok 같은 경우는 의존성을 추가해준다고 바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IntelliJ에서 추가적으로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일단 첫 번째로 intelliJ에 lombok 플러그인을 설치해준다
이후 IntelliJ 환경설정에서 추가적으로 설정해준다.
추가적으로 dependencies 추가를 위한 코드들은 외워서 쓰는 것이 아니고
구글에 maven springboot 검색해서 들어가서 원하는 버전과 빌드 관리 툴을 선택하면 코드가 나온다.
이후 필요한 패키지와 클래스 세팅으로 프로젝트 세팅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