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 11Ajax
2021-01-08 수업내용 정리 겸 복습
Ajax :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비동기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법을 의미
HTTP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동기방식의 데이터 교환만을 지원했었는데
1993년 MS의 Microsoft.XMLHTTP라는 컴퍼넌트 덕택으로
비동기 처리기술이 활성화 됨
2000년 12월, FF가 XMLHttpRequest라는 이름으로 지원
그 이후 2004년 4월, CR이 구글맵으로 통해 Ajax기술 지원.
+ Ajax란
Ajax는 JavaScript의 라이브러리중 하나이며
브라우저가 가지고 있는 XMLHttpRequest 객체를 이용해서 전체 페이지를 고치지 않고도
페이지의 일부만을 위한 데이터를 로드하는 기법이며 Ajax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JavaScript를 사용한 비동기 통신,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XML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동기 vs 비동기 처리
동기 :
각 작업의 처리시간에 맞춰 실행되는 방식
먼저 요청한 작업이 처리됨, 처리시간이 길어지면 나머지 작업들은 하염없이 기다려야함.
설계가 간단하고 직관적
결과가 나올때까지 아무것도 못하고 계속 대기해야 함.
비동기 :
모든 작업은 개별 작업의 처리시간과 상관없이 다발적으로 실행되는 방식
먼저 요청한 작업이 먼저 끝난다고 보장하지 않음
처리시간이 길어질것 같으면 다른 작업을 우선적으로 실행할 수 있음.
설계가 복잡, 결과가 나올때까지 시간이 걸리더라도
그 동안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
+ 비동기 방식이란 ?
비동기 방식은 웹페이지를 리로드하지 않고 데이터를 불러오는 방식 이방식의 장점은 페이지 리로드의 경우
전체 리소스를 다시 불러와야하는데 이미지, 스크립트, 기타코드등을 모두 재요청할 경우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가 발생
비동기식 방식을 이용할 경우 필요한 부분만 불러와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큰 장점이 있다.
+ 왜 사용하는가?
기본적으로 HTTP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쪽에서 Request를 보내고 Server쪽에서 Response를 받으면 이어졌던 연결이 끊어지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화면의 내용을 갱신하기 위해서는 다시 request를 하고 response를 하면서 페이지 전체를 갱신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할 경우 페이지의 일부분만 갱신할 경우에도 페이지 전체를 다시 로드해야하는데 엄청난 자원낭비와 시간낭비를 초래하고 말것입니다. 하지만 ajax는 html 페이지 전체가아닌 일부분만 갱신할수 있도록
XML HttpRequest객체를 통해 서버에 request를 합니다. 이경우 json이나 xml형태로 필요한 데이터만 받아 갱신하기 때문에 그만큼의 자원과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요새 웹페이지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속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 이유만으로도 Ajax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로써 충분합니다.
+ Ajax의 장점
- 웹페이지의 속도 향상
- 서버의 처리가 완료 될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처리 가능하다.
- 서버에서 Data만 전송하면 되므로 전체적인 코딩의 양이 줄어든다.
- 기존 웹에서는 불가능했던 다양한 UI를 가능하게 해준다.
Ajax의 단점
- 히스토리 관리가 안 된다. ( 보안에 좀 더 신경을 써야한다. )
- 연속으로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 XMLHttpRequest를 통해 통신을 하는 경우사용자에게 아무런 진행 정보가 주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아직 요청이 완료되지 않았는데 사용자가 페이지를 떠나거나 오작동할 우려가 발생한다.
오늘 수업중 코드의 내용이 제일 복잡해서 이해하기 어려운거 같다. 그리고 개념에대한 설명도 부족하다 느껴져
구글링으로 + 부분으로 추가한부분이 coding-factory.tistory.com/143
[Ajax] Ajax란 무엇인가?
Ajax란? Ajax는 JavaScript의 라이브러리중 하나이며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비동기식 자바스크립트와 xml)의 약자입니다. 브라우저가 가지고있는 XMLHttpRequest 객체를 이용해서 전체 페이지를..
coding-factory.tistory.com
보고 참고했다.